글의 순서
갤럭시 S25 배터리 재활용 방식: Circular Battery Supply Chain의 핵심
사용 중 다 쓴 스마트폰 배터리를 어떻게 처리해야 환경에 도움이 될지 고민한 적 있으신가요? 갤럭시 S25의 배터리는 단순한 충전 부품을 넘어, 자원 순환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결정체입니다. 삼성전자가 도입한 Circular Battery Supply Chain은 이를 구체화한 혁신적 순환 시스템입니다.
삼성은 갤럭시 S25 생산을 위해 총 200톤 규모의 폐배터리 재료를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상당량은 구형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회수한 배터리로부터 나옵니다. 사용자가 반납한 기기에서 배터리를 제거한 후 방전, 분쇄, 가공 과정을 거쳐 재활용 코발트가 추출되고, 이를 양극 활물질로 다시 제조하여 갤럭시 S25 배터리에 적용합니다.
주요 재활용 단계
- 사용된 갤럭시폰 회수: 미국, 베트남 등지에서 반납된 구형 스마트폰을 수집
- 배터리 분해 및 분쇄: 안전 방전 후 잘게 부수어 재자원화
- 블랙 매스 가공: 파쇄물에서 재활용 금속 성분 회수
- 코발트 추출 및 배터리 제조: 코발트는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로 활용
삼성은 이 전 과정을 UL 인증까지 획득하며 안전성도 확보했습니다.
8종 재활용 소재로 만든 갤럭시 S25의 부품들
갤럭시 S25는 단순히 배터리에서만 재활용을 구현한 게 아닙니다. 기기 전반에 걸쳐 총 8종의 재활용 소재가 적용됐습니다.
주요 적용 소재 목록
- 재활용 코발트: 폐배터리에서 추출 후 배터리 양극 소재로 사용
- 재활용 알루미늄 및 아머 알루미늄: 사이드 프레임과 버튼류에 적용
- 재활용 글라스: 강화 유리 성분 일부에 활용
- 폐어망에서 추출한 해양 플라스틱: 기기 내부 부품에 접목
- 재활용 플라스틱 (웨이퍼 트레이 유래): 약 30톤 규모 활용
이 외에도 볼륨 키, 사이드 키, SIM 트레이 등 소형 부품에도 재활용 소재가 쓰였습니다.
갤럭시 업사이클링과 수거 프로그램 참여 방법
갤럭시 S25의 친환경 배터리를 완성하기 위해 우리도 일정 부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바로 삼성전자의 폐휴대전화 수거 프로그램이나 갤럭시 업사이클링 제도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참여 방법 목록
- 전국 삼성 디지털프라자 또는 서비스센터 방문
- 지자체 지정 폐전지 수거함 활용
- 일부 지역의 보상 프로그램 참여 가능
- 반납 전 배터리는 반드시 절연 처리 필요
'코랄 인 포커스' 프로젝트로 확장되는 갤럭시 생태계 보호
삼성은 단순한 배터리 재활용을 넘어,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인 ‘코랄 인 포커스’도 함께 전개하고 있습니다.
코랄 인 포커스 개요
- 미국 플로리다, 인도네시아 발리, 피지 등에서 산호초 복원
-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수중 촬영 → 3D 산호초 복원 데이터 생성
- 지역 단체와 협력해 실제 복원 활동
- 오션 모드 탑재로 셔터스피드 자동 최적화 및 고화질 촬영 가능
또한, 지금까지 총 150톤 이상의 해양 플라스틱을 갤럭시 제품군에 적용해 왔습니다.
배터리 재활용으로 탄소 발자국 줄이기
갤럭시 S25는 고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환경 보호도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발트, 니켈, 리튬과 같은 희귀 금속의 재사용은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 파괴를 최소화합니다.
삼성의 환경 목표
항목 | 내용 |
---|---|
2030년 목표 | 배터리 소재의 50% 이상을 재활용 자원으로 대체 |
재활용 배터리 총량 | 200톤 (2025년 기준) |
해양 플라스틱 적용량 | 누적 150톤 이상 |
탄소 발자국 인증 | 획득 완료 |
배터리 처리 위험성 경고 | 일반 쓰레기 폐기 시 화재·오염 가능성 높음 |
※ 안전하게 배터리를 폐기하지 않으면 화재나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으니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반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