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온yx 시네마 디스플레이 4K HDR로 진화

삼성의 차세대 영화관용 LED 스크린이 라스베가스서 공개됐다 혁신 기술과 생생 화질의 비밀을 지금 확인해보자
Samsung Onyx Cinema Display Evolves to 4K HDR

삼성전자, 시네마콘 2025서 ‘온yx 시네마 디스플레이’ 공개

세계 영화 산업의 최대 이벤트 ‘시네마콘 2025’에서 삼성전자가 차세대 삼성 온yx 시네마 디스플레이를 선보였습니다. 이 제품은 전통적인 영화 프로젝터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 LED 기반의 극장 스크린으로, 국내외 영화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모았습니다.

DCI 인증 받은 세계 최초의 LED 시네마 스크린

삼성 온yx는 2017년 세계 최초로 DCI(Digital Cinema Initiatives) 인증을 받은 영화관 전용 LED 스크린입니다. 일반 프로젝터가 빛을 투사하는 방식인 데 반해, 온yx는 자체 발광 방식으로 영상을 구현합니다.

  • 4K 해상도 (4096 x 2160)
  • DCI-P3 100% 색역 지원
  • 최대 300니트 밝기
  • HDR 콘텐츠 재생 최적화
  • 최대 120Hz 주사율

이러한 스펙은 영화 제작자가 의도한 색상과 영상을 극한까지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극장 환경 맞춤 설치 가능한 확장성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크기의 상영관에 맞춰 4가지 기본 사이즈와 각각 다른 픽셀 피치로 제공됩니다.

  • 5미터(1.25mm)
  • 10미터(2.5mm)
  • 14미터(3.3mm)
  • 20미터(5.0mm)

모듈형 설계로 설치 후 확장이 용이하며, 스코프(2.38:1)와 플랫(1.85:1) 비율을 지원해 다양한 콘텐츠 형식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전통적인 프로젝터와의 차이점

기존 프로젝터는 램프 기반의 투사 방식이기 때문에 밝기와 명암비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온yx는 다음과 같은 차별점을 가집니다:

  • 명암비 1,000,000:1 이상: 깊은 블랙 표현
  • 밝기 최대 146fL 또는 300니트: 일반 프로젝터 대비 10배 이상
  • 램프 교체 불필요: 최대 수명 100,000시간
  • 균일한 밝기: 시야각 따른 품질 저하 없음

자동 캘리브레이션도 지원해, 설치 이후에도 지속적인 화질 유지를 보장합니다.

몰입형 사운드까지 완비

스크린 뒤에 스피커를 설치할 수 없는 구조로 인해 JBL과 협력한 하만 사운드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이는 전면에서 몰입형 사운드를 구현하며, 돌비 애트모스 시스템과도 호환됩니다.

이런 글은 어때요? 👉  T-Mobile OnePlus 사용자, 지금까지 최악의 고객 체험

글로벌 확산과 실제 설치 사례

온yx는 이미 30개국 이상에 설치되며 글로벌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내 설치처:

  • CGV 용산아이파크몰
  • CGV 청담씨네시티
  •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등

해외 도입 국가:
미국, 중국, 독일, 태국, 인도, 멕시코, 스위스 등으로 확산 중입니다.

관람객과 전문가의 반응

직접 체험한 관객들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 선명한 색감
  • 눈의 피로도가 낮은 균일한 밝기
  • 블랙 표현력으로 인한 깊은 몰입감
  • 3D 콘텐츠에서도 밝기 손실 없음

전문가들은 온yx 기술이 단순히 영화 상영에 국한되지 않고, 콘서트 생중계, 게임 이벤트, 이스포츠, 기업 행사 등에서도 새로운 주류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단점과 고려할 점

온yx는 설치비가 높아 (수억 원 규모) 소규모 영화관에서는 도입이 쉽지 않으며, LED 패널의 정밀한 조립 및 유지관리에 따른 부담도 존재합니다. 극장 구조에 따라 음향 설계가 별도로 필요한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Total
0
Shares
Previous Post
Which 3 iPhones are excluded from iOS 19 support

iOS 19 지원 제외되는 아이폰 3종은?

Next Post
Pixel Tablet Maintains Lowest Price Even After Amazon Sale

아마존 할인 끝나도 픽셀 태블릿 최저가 유지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