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Exynos 2400e: 가격과 성능 사이의 균형을 택한 삼성의 전략적 칩셋
비싼 스마트폰은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보급형’은 싫은 사용자라면 Exynos 2400e라는 이름이 익숙해져야 할 시점이다. 삼성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중고가 시장에서 다시 한 번 엑시노스를 꺼내 들었고, 그 중심에 바로 이 칩셋이 있다.
Exynos 2400e의 주요 사양 및 변화 포인트
Exynos 2400e는 기존 플래그십 모델에 탑재됐던 Exynos 2400의 ‘다이어트 버전’으로, 대부분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약간의 다운클럭으로 가격을 낮추려는 목적이 담긴 SoC다.
-
10코어 CPU 구성
- 1x Cortex-X4 @ 3.10GHz
- 2x Cortex-A720 @ 2.90GHz
- 3x Cortex-A720 @ 2.59GHz
- 4x Cortex-A520 @ 1.96GHz
-
GPU: AMD의 RDNA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Xclipse 940 @ 1095MHz
-
제조 공정: 삼성 4nm LPP+
-
중점 기술: IPoP(Integrated Package on Package), 5G NR(Sub-6GHz, mmWave), AI 가속기, ISP 등
특이한 건 GPU는 그대로 유지한 채 오직 프라임 Cortex-X4 코어의 클럭만 3.2GHz → 3.1GHz로 소폭 낮췄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실제 성능 차이는 최소화하면서 원가를 줄이고 있다.
또한 IPoP 기술 도입 가능성이 언급되며, 이는 칩셋과 메모리 일체형 패키징으로 성능 대비 비용 효율은 높지만, 발열과 두께 증가라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벤치마크 결과: 거의 플래그십처럼 움직인다
GeekBench 6 기준으로 Exynos 2400e는 S24+의 Exynos 2400과 거의 동일한 멀티코어 점수를 보여준다. 싱글코어에서 클럭 차이로 인한 손실은 고작 4%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실사용에서는 구분조차 힘들 정도다.
AnTuTu 10 기준으로도 다음과 같은 성능을 기록한다:
칩셋 | AnTuTu 총점 | GeekBench 6 (Multi) | GeekBench 6 (Single) |
---|---|---|---|
Exynos 2400e | 약 1,360,000 | 약 6,900점 | 약 2,100점 |
Exynos 2400 | 약 1,390,000 | 약 7,050점 | 약 2,160점 |
Dimensity 9300+ | 약 1,500,000 | 약 7,300점 | 약 2,250점 |
GPU 성능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레이 트레이싱 기반의 3DMark Solar Bay 1440p 오프스크린 테스트에서 iPhone 16 Plus 대비 23%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Exynos 2400e가 탑재한 AMD 기반 GPU가 하드웨어 수준에서 레이 트레이싱을 처리할 수 있기에 가능한 결과다. 반면, Apple은 Wild Life Extreme(비 RT 테스트)에서 소폭 우위를 보이고 있다.
사용할 디바이스: Galaxy S24 FE와 Galaxy Z Flip FE
-
Galaxy S24 FE
Exynos 2400e가 가장 먼저 탑재된 스마트폰. 약 $650 가격으로 출시되며, 같은 RAM 및 저장공간을 기준으로 S24($800)보다 약 150달러 저렴하다.
전작 S23 FE에 비해 최대 70% 성능 향상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
Galaxy Z Flip FE 또는 Z Flip 7 FE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은 차세대 폴더블 보급형 모델에도 2400e를 도입할 계획이다.
기존 Galaxy Z Flip 시리즈가 모두 Snapdragon 칩셋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이 모델은 가격 절감을 위해 최초로 엑시노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Exynos 2400, 2400e, 그리고 2500의 차이
구분 | 코어 구성 | 클럭 (X4 기준) | 공정 | 특징 요약 |
---|---|---|---|---|
Exynos 2400 | 1+2+3+4 | 3.20GHz | 삼성 4nm | Galaxy S24/S24+ 탑재 |
Exynos 2400e | 1+2+3+4 | 3.10GHz | 삼성 4nm | 다운클럭, 가성비 모델용 (S24 FE, Z Flip FE) |
Exynos 2500 | 미확정 (신규 CPU+GPU 도입 예정) | 미공개 | 삼성 3nm | 차세대 플래그십용, 성능·효율 대폭 향상 예정 |
Exynos 2400e는 2400과 구조가 매우 유사하지만, Exynos 2500은 완전히 새로운 설계를 기반으로 하며 성능과 전력 효율에서 큰 도약이 예상된다.
어떤 사용자에게 적합할까?
- S 시리즈의 ‘풀’ 성능이 필요 없지만, 여전히 강력한 게임·멀티태스킹 환경을 원하는 사용자
- 플래그십 디자인을 누리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추구하는 실속형 유저
- 그래픽을 중시하거나, AMD 기반 레이 트레이싱을 체감해보고 싶은 게이머
Exynos 2400e는 결국 ‘거의 플래그십’ 성능에 ‘보급형 이상’의 가격효율을 갖춘 중간 다리 역할이다. 최신 기기의 스펙은 갖추고 싶지만, 현재 통장 사정이 아픈 당신에게, 이 칩셋은 꽤 훌륭한 타협안이 될 수 있다.
자세한 벤치마크 수치는 여기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