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스팸 전화란 무엇인가
누구에게나 한 번쯤은 온다. 모르는 번호로 갑작스런 전화. 받자마자 보험, 대출, 심지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말이 쏟아진다면 그것이 바로 스팸 전화다.
스팸 전화란 수신자의 동의 없이 광고, 사기, 설문조사 등을 목적으로 무작위로 걸려오는 전화를 말한다. 최근에는 단순한 광고성 전화를 넘어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개인정보 탈취 등으로 연결되는 범죄의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스팸 전화의 주요 유형
- 보이스피싱: 공공기관이나 금융사를 사칭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방식
- 불법 대출 권유: 대출이 가능하다고 속이고 수수료를 요구
- 광고성 전화: 보험, 상조, 교육, 부동산, 투자 등 상품 홍보
- 전화번호 조작: 발신 번호를 일반 핸드폰처럼 조작해 신뢰 유도
2023년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된 스팸 전화만 해도 약 170만 건에 달했고, 관련 피해액은 7,0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특히 고령자층과 금융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들이 주요 표적이다.
스팸 전화 차단 방법
많은 사용자가 “스팸전화 안오게 하는법”을 궁금해하지만, 단순히 앱 하나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기기 설정 + 전용 앱 + 통신사 서비스를 함께 활용해야 실효성이 높다.
스마트폰 설정을 통한 차단
아이폰
- ‘설정 > 전화 > 모르는 발신자 무음 처리’ 활성화
- 연락처 외 번호는 자동으로 음성 사서함으로 전송됨
갤럭시(삼성)
- ‘전화 앱 > 설정 > 통화 차단 및 스팸 보호 > 스마트 콜’ 기능 사용
- 모르는 번호를 자동 식별하고 차단, 신고 가능
픽셀폰
- ‘전화 앱 > 설정 > 발신자 ID 및 스팸’ 활성화
- 구글 기반의 AI 탐지 시스템으로 스팸 자동 차단
전용 애플리케이션 활용하기
아래 앱들은 통화 전 수신 번호를 분석하고, 스팸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거나 자동 차단까지 지원한다.
- 후후
- T전화 (SKT 사용자)
- Whoscall (후스콜)
- 스팸버스터
- 스팸킬러
각 앱은 시민들의 신고 및 DB를 바탕으로 번호를 판별하며, 전화번호 검색 기능도 제공한다. “010 전화번호 검색”이나 “모르는 전화번호 조회”도 이들 앱을 통해 가능하다.
스팸 전화로 인한 피해와 예방법
피해를 겪기 전, 대비가 절실하다. 단순한 광고 전화를 넘어 범죄 피해로 번지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주의사항
- 전화로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번호 제공 금지
- 불특정 번호로 온 전화는 절대 클릭하거나 안내에 따르지 말 것
- “010 전화번호 검색” 후 정체불명의 번호일 경우 받지 않는 것이 안전
- “모르는 번호 카톡 안뜸” → 이는 등록되지 않은 번호라는 뜻이므로 더 주의
또한 인터넷 거래 시에도 유사한 피해가 나타나므로 함께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지나치게 싼 가격으로 직거래 유도 시, 사기 또는 스팸 가능성 높음
- 거래 시엔 반드시 물품을 확인하고 대면 거래
- 가능하면 신용카드 결제를 사용 vs 계좌이체 사기 위험 높음
- 사업자 정보 조회는 대형 오픈마켓이라도 필수
스팸 전화 신고 절차
스팸 전화가 의심되면 즉각 신고해 다른 사용자들의 피해도 막을 수 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국번 없이 118
- 불법스팸대응센터 홈페이지 접속
- 신고된 번호는 스팸 번호 DB에 등록되어 앱이나 서비스에서 경고 제공
최근에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스팸 번호 실시간 조회 서비스도 있다. ‘후후’나 ‘후스콜’ 앱, 또는 114 검색 포털 등을 통해 번호나 상호명으로 걸려온 번호의 정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스팸 차단 방법 | 도구/앱 |
---|---|
스마트폰 기본 설정 | ‘모르는 발신자 무음'(iOS), ‘스마트콜'(갤럭시) |
전화번호 실시간 조회 | 후후, Whoscall, T전화 등 |
통신사 차단 서비스 | SKT(T 스팸필터링), KT(olleh 스팸차단), LG U+(스팸차단 플러스) |
피해 신고 | KISA 118, 사이버수사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