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가격 인상 현실화되나 관세 여파

아이폰 가격이 최대 43퍼센트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 애플이 가격 조정을 놓고 고민하며 주가 하락에도 직면한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자
Will iPhone Price Increase Become a Reality Due to Tariff Impact

아이폰 가격 인상 임박…트럼프發 대중국 관세 여파에 소비자 ‘비상’

요즘 아이폰 사야 할까 말까 고민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이유는 명확하다. 아이폰 가격 인상이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 특히 미국 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국 ‘보복 관세’ 부활 가능성이 커지며, 그 여파가 전 세계로 번질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 대부분 여전히 '메이드 인 차이나'

애플은 여전히 상당수 아이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만약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최대 54%의 관세를 부과하면, 애플은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 애플이 부담할 방식이 없진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쪽이 유력하다.

아이폰 가격 몇 % 오를까?

UBS는 아이폰 16 프로 맥스의 경우 현재 1,199달러에서 최대 350달러, 약 30%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최고급 모델은 2,300달러에 육박할 수 있다. 기본 모델 역시 799달러에서 1,142달러로 43%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글로벌 애널리스트들의 구체적인 숫자와 전망에 기반한다.

<아이폰 16 일부 예상 가격 변화>

모델 현재 가격 관세 적용 후 예상 가격 상승률
아이폰 16 (기본) $799 $1,142 약 43%
아이폰 16 프로 맥스 $1,599 $2,300 약 44%
아이폰 16e $599 $856 약 43%

미국뿐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국가에서도 최대 6% 인상이 예상되고 있으며, JP모건은 애플이 평균적으로 전 세계에 걸쳐 약 6%의 가격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주가도 출렁, 소비자는 불안

이러한 전망은 애플의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최근 주가는 9.42% 하락하며 202.80달러로 내려앉았고, 200달러가 깨질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까지 지적된다. 관세 인상은 아이폰뿐 아니라 애플워치, 에어팟 등 다른 중국산 애플 제품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글은 어때요? 👉  블루투스 트래커, 사이버 먼데이 특가

애플, 관세 회피 위해 인도산 아이폰 공급 확대 추진

애플도 손 놓고 보고만 있는 건 아니다. 인도로 생산 거점을 옮기며 관련 리스크를 줄이려는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 공장 확대…하지만 한계도 뚜렷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 SE, 아이폰 12 같은 구형 모델을 주로 생산해왔지만, 최근 들어 아이폰 15 일부 모델, 그리고 향후 아이폰 16 시리즈까지도 인도산 비중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문제는 ‘생산 품질’과 ‘공급 안정성’. 프리미엄 모델인 프로/프로 맥스 생산은 여전히 중국 쪽에 기대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 외 국가로의 이전이 일부 방어 효과는 있지만, 관세 회피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애플이 생산지를 미국으로 100% 이전하려면, 고급 모델 기준으로 아이폰 가격이 최대 3,500달러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아이폰 16, 인도산 여부에 따라 가격 차이도 벌어질까?

예를 들어 아이폰 16 프로는 중국산일 경우 120~150달러 인상, 인도산일 경우 100달러 이하의 인상에 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결국, 어느 공장에서 어떤 모델을 먼저 얼마나 생산하느냐에 따라 가격 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시대가 온 셈이다.

다음 아이폰 출시, 가격 어떻게 될까?

애플 측은 공식적인 가격 인상은 발표하지 않았다. 하지만, 아이폰 16 시리즈는 이미 다음과 같은 고급 사양이 예고되고 있다.

  • A18 칩셋 탑재
  • 개선된 카메라 셋업
  • 티타늄 프레임 확대
  • iOS 18의 AI 기능

이런 스펙이 관세+생산비 증가와 맞물리면, 아이폰 16 기본형 가격이 1,099달러 이상, 프로 모델은 1,499달러 이상 될 가능성도 예측된다.

전문가들은 애플이 미국에서는 가격을 유지하되, 해외에서 환율과 세금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을 단행하는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고 본다. 실제로 일본, 독일 등 일부 나라에서는 이미 아이폰 14 기준 전작 대비 20% 가까운 인상이 있었던 바 있다.

애플 프리미엄 전략은 여전하지만, 이제는 정말 '언제 살지'도 전략이 되는 시대다.

이런 글은 어때요? 👉  오페라, AI 탑재 iOS 브라우저 출시 예정
Total
0
Shares
Previous Post
Samsung Galaxy Price Increase Expected to Materialize in the US

삼성 갤럭시 가격 인상, 미국서 현실화 전망

Next Post
Pixel 10 Camera Specs Leaked 4 Models Comparison

픽셀 10 카메라 사양 유출…4종 모델 비교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