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7, 아이폰 16e 혁신 따라잡을 수 있을까?

애플의 차세대 아이폰17이 이전 모델의 혁신을 이어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소식 주목할 만하다 앞으로 어떤 변화가 펼쳐질지 확인해 보자
Can the iPhone 17 Catch Up with the Innovations of the iPhone 16e

iPhone 17 시리즈, 애플 자체 모뎀 도입 제한적

애플이 무선 칩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자체 모뎀의 적용 범위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애플 전문 애널리스트 밍치 쿠오는 iPhone 17 시리즈 중 단 한 개 모델만이 애플 자체 개발 모뎀 'C1'을 탑재할 것이라고 전했다.

iPhone 17 Air만 C1 모뎀 적용

밍치 쿠오에 따르면, iPhone 17, 17 Pro, 17 Pro Max 모델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퀄컴의 모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애플의 자체 모뎀 'C1'이 적용되는 유일한 모델은 ‘iPhone 17 Air’가 될 전망이다.

애플은 iPhone 16e에서 처음으로 C1 모뎀을 도입하며 퀄컴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이번 iPhone 17 시리즈에서도 C1 모뎀의 적용 범위가 제한적인 이유는 여전히 mmWave(밀리미터파) 기술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C1 모뎀은 6GHz 이하(sub-6GHz) 대역의 5G는 지원하지만,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mmWave 대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모델에만 탑재되는 것으로 보인다.

쿠오는 향후 C1 모뎀의 업그레이드가 지속될 것이며, mmWave 지원과 성능 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애플은 2027년까지 아이폰 전 모델에 자체 모뎀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Wi-Fi 칩은 대대적 교체, 연결성 강화 기대

모뎀 적용 범위는 제한적이지만, iPhone 17 시리즈의 모든 모델에는 새로운 애플 자체 개발 Wi-Fi 칩이 탑재될 예정이다. 기존 브로드컴의 Wi-Fi 칩을 대체하는 이 칩의 내부 프로젝트명은 ‘Proxima’로, 애플 기기 간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됐다.

애플이 퀄컴뿐만 아니라 브로드컴 칩도 자체 개발로 대체하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Wi-Fi 칩의 자체 개발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애플 생태계 내 기기 간 연결성과 성능 최적화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글은 어때요? 👉  Humane 700달러 Ai Pin, 1년도 안 되어 단종된 상황

의견

애플의 무선 칩 기술 발전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지만, 여전히 완전한 독립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C1 모뎀의 제한적인 적용 범위는 애플이 퀄컴의 5G 기술을 완전히 대체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음을 시사한다.

반면, 자체 Wi-Fi 칩의 전면 도입은 애플이 무선 연결 기술을 점차적으로 내재화하면서 더욱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신호로 보인다. 앞으로 애플이 자체 칩을 얼마나 빠르게 발전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며, 2027년 목표가 현실화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Total
0
Shares
Previous Post
Galaxy A53 February 2025 Security Update Support

Galaxy A53, 2025년 2월 보안 업데이트 지원

Next Post
All Samsung Galaxy Watch Ultra Models All Power Major Discount Ongoing

삼성 갤럭시 워치 울트라 전 모델, 전원 동일 가격 대폭 할인 진행중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