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삼성, 아이폰 OLED 패널 추가 생산 맡나?
애플이 아이폰의 OLED 패널 공급을 위해 기존 BOE 대신 삼성 디스플레이에 더 많은 주문을 맡길 가능성이 제기됐다.
BOE, 품질 문제로 공급 차질 빚어
디스플레이 전문 매체 OLED-Info에 따르면 중국 BOE가 애플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제때 패널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OE는 주로 아이폰 14, 아이폰 15, 15 플러스, 아이폰 16, 아이폰 16 플러스와 같은 일반 모델에 사용되는 LTPS OLED 패널을 생산한다. 하지만 2024년 초부터 현재까지 애플이 주문한 4천만 장의 패널 중 겨우 700만~800만 장을 공급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품질 문제 해결에 최소 6주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애플이 부족한 물량을 삼성 디스플레이에 추가로 주문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애플, 삼성에 더 많은 주문 가능성↑
애플은 삼성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LG 디스플레이에서도 OLED 패널을 조달하고 있다. 하지만 LG 디스플레이는 주로 아이폰 프로 모델(아이폰 16 프로, 아이폰 16 프로 맥스 등)에 사용되는 LTPO OLED 패널 생산에 집중하고 있어, 애플이 LTPS OLED 패널 부족분을 삼성에 맡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BOE, 반복되는 품질 문제
사실 BOE가 애플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차례 품질 문제를 겪었으며, 2023년에도 BOE가 생산한 패널에서 다이내믹 아일랜드 부분의 빛 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삼성에 새로운 기회
이번 결정이 현실화된다면 삼성 디스플레이에는 긍정적인 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가속기에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 관련 문제로 수익이 하락하고 있어, OLED 패널 공급 증가가 사업에 중요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의견
삼성 디스플레이가 추가 공급 계약을 따낸다면, 불안정한 반도체 시장에서 OLED 패널 사업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BOE의 반복된 품질 문제는 애플이 안정적인 공급망을 위해 다시 삼성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BOE가 품질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향후 프리미엄 OLED 시장에서 삼성과 LG가 더욱 강한 입지를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