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애플, 폴더블 아이폰 생산 준비 돌입
폴더블 아이폰이 정말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10년 가까운 루머를 지나, 애플은 본격적으로 폴더블 아이폰의 생산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시장 출시 시점은 빠르면 2026년 하반기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4월까지 부품 공급사 결정
애플은 2024년 4월까지 핵심 부품 공급사를 최종 결정할 계획입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 코닝, 암페놀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힌지, 커버글라스 등 주요 부품이 고도화된 기술로 개발되고 있어 공급사 선정이 제품 완성도에 큰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디스플레이 주름 대폭 개선
폴더블폰의 가장 큰 화두였던 디스플레이 주름 문제도 애플이 본격적으로 개선에 나섰습니다. 고난도 소재 선택과 정밀한 힌지 설계, 커버글라스의 진화 덕분에 접히는 부위의 주름이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전체 내구성도 함께 향상되었다고 알려졌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OLED 전량 유력
애플은 OLED 디스플레이 공급사로 삼성디스플레이를 유력하게 검토 중입니다. 기존에도 애플은 아이폰 OLED 패널을 삼성에 의존한 바 있으며, 인폴딩 구조에 최적화된 주름 감소 기술까지 긴밀하게 협력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LG디스플레이도 언급되지만, 초기 물량은 삼성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커버글라스와 힌지 선정 주목
접는 스마트폰의 수명을 지배하는 두 요소는 커버글라스와 힌지입니다. 커버글라스는 코닝이 유력하며, UTG(초박막유리) 가공은 국내 협력사가 담당할 수 있습니다. 힌지는 암페놀이 공급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업체는 맥북의 힌지 부품을 제작한 이력이 있어 애플과의 신뢰도도 높습니다.
폴더블 아이폰에 기대할 수 있는 6가지
폴더블 아이폰은 단순히 접히는 기기가 아니라, 새로운 카테고리의 애플 제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주름 없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애플은 크레인리스 설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 중앙의 주름을 육안으로 거의 알아볼 수 없는 수준까지 줄이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주요 차별화 포인트가 될 전망입니다.
터치ID 기능 탑재 가능성
기기의 얇은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 Face ID 대신 전원 버튼에 Touch ID를 내장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는 아이폰 SE 사용자에게 익숙한 요소로, 보안성과 실용성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시도입니다.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연구 중인 iOS
폴더블 화면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가로 UI 기반의 iOS 19 혹은 그 이후 버전이 개발 중인 것으로 관측됩니다. 멀티태스킹, 분할 화면, 마치 아이패드처럼 활용 가능한 기능들이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폴더블 아이폰의 디스플레이 및 크기 정보
특성 | 세부 사항 |
---|---|
외부 디스플레이 | 5.5인치 |
내부 디스플레이 | 7.8인치 (아이패드 미니 크기 유사) |
펼쳤을 때 두께 | 최대 4.8mm (아이패드 프로보다 얇음) |
접었을 때 두께 | 약 9~9.5mm |
디스플레이 유형 | OLED, 인폴딩 구성 |
제조사(예상) | 삼성디스플레이 또는 LG디스플레이 |
폴더블 아이폰의 예상 가격과 전략
항목 | 예상 수치 |
---|---|
판매 가격 | $2,000 ~ $2,500 (한화 약 294만 ~ 367만 원) |
제품 전략 | 프리미엄 고가, 한정 생산 가능성 |
출시 시점 | 늦어도 2026년 하반기 |
애플은 제한된 물량으로 첫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고, 소비자 반응 및 생태계 연동성 개선을 바탕으로 향후 전략을 조정할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 화웨이 등 안드로이드 진영과의 차별화를 위해 사용자 경험 및 긴 수명이 핵심이 될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