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애플, 틱톡 앱스토어 배포 재개 결정
애플이 다시 한 번 iOS 앱스토어에서 틱톡(TikTok) 다운로드를 허용했다. 이는 기존 사용자뿐만 아니라 신규 사용자도 다시 틱톡을 설치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됐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치가 취해진 배경에는 미국 법무장관 팸 본디(Pam Bondi)의 요청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해당 서한의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애플, 틱톡 삭제 후 한 달 만에 복구
애플은 지난 1월 18일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삭제했다. 이 조치는 1월 19일 미국에서 틱톡 금지법이 시행되기 바로 직전에 이루어졌다. 해당 법안은 2024년 4월 미국 의회를 통과해 발효된 것으로,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에 9개월 내 미국 외 기업에 자사 서비스를 매각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바이트댄스 측은 이 법이 미국 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법원과 대법원 모두 바이트댄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틱톡이 미국 내에서 계속 운영될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커졌다.
트럼프 정부, 틱톡 금지에 혼선 빚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법무부에 90일간 틱톡 금지법을 사실상 유예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하지만 당시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다시 제공하지 않았다. 애플은 앱 삭제 당시 공식 설명문에서 "운영 지역의 법률을 준수할 의무가 있다"며 법적 문제에 대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후 미국 법무부는 틱톡 다운로드 재개와 관련해 애플이 처벌받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애플은 이를 받아들여 앱스토어에서 틱톡 배포를 재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틱톡, 여전히 금지 논란 속 불확실성 지속
틱톡은 지난 한 달 동안 앱스토어에서 사라졌지만, 기존에 설치된 사용자들은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틱톡을 미국 기업이 인수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부통령 J.D. 밴스가 중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틱톡의 강제 매각을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미국이 최근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틱톡 문제는 미·중 갈등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의견
애플이 틱톡 배포를 재개한 결정은 법적인 논란 속에서도 이용자를 고려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틱톡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앞으로 기업과 정부 간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반발과 미국의 추가적인 압박이 맞물리면서 향후 틱톡의 운영 방향이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