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아이폰 17 프로 맥스, 3년 만에 새로운 전면 디자인 적용
아이폰 17 프로 맥스가 3년 만에 새로운 전면 디자인을 도입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아이폰의 전면 디자인은 2022년 출시된 아이폰 14 프로 이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차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탈렌즈 기술 적용으로 다이내믹 아일랜드 축소
아이폰 17 프로 맥스는 '메탈렌즈(metalens)' 기술을 활용해 다이내믹 아일랜드를 기존보다 좁게 설계할 예정이다. 다이내믹 아일랜드는 3년 전 첫 도입 이후 크기에 변화가 없었지만,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크기를 줄일 계획이다. 메탈렌즈 기술은 페이스 ID 관련 센서를 통합해 구조적 부품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기술은 향후 아이패드 프로 및 폴더블 아이패드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3D 얼굴 인식 기능을 화면 아래에 배치하는 것이 목표지만, 이를 구현하는 데는 몇 세대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메탈렌즈 기술이란?
메탈렌즈는 기존의 곡면 렌즈와 달리 나노 구조를 활용해 빛을 조작하는 광학 렌즈 기술이다. 이는 더 평평하고 가벼우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애플은 페이스 ID 시스템에 이를 적용할 예정이며, 향후 첫 폴더블 아이폰에도 해당 기술이 탑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얇아진 베젤과 신규 디자인 도입
아이폰 17 프로 모델은 더 얇은 베젤과 곡선형 엣지 디자인을 채택할 전망이다. 또한 구글 픽셀 스타일의 카메라 바 및 알루미늄과 글래스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후면이 적용될 예정이다. 카메라 성능도 향상돼 48MP(메가픽셀) 페리스코프 카메라와 48MP 전면 카메라가 추가된다.
TSMC 3nm 공정 기반 A19 칩 탑재
아이폰 17 시리즈는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의 차세대 3nm 공정으로 제작된 A19 칩을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플러스 모델을 대체하는 '아이폰 17 에어' 모델이 새롭게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의견
아이폰 17 프로 맥스의 메탈렌즈 기술 도입은 디자인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로 보인다. 다이내믹 아일랜드가 작아지면 화면 활용도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향후 화면 아래 페이스 ID 적용 가능성도 흥미로운 발전이다. 또한,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언급이 점점 늘어나면서 애플이 이 시장에 언제 본격적으로 진입할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