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애플, 자체 개발 5G 모뎀 탑재 '아이패드 프로' 초기 개발 시작
차세대 iPad Pro 5G 모뎀 모델 소식이 전해지며 애플 팬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애플은 외부 공급 모뎀에서 벗어나, 자체 설계한 5G 모뎀과 새로운 M6 칩을 갖춘 iPad Pro의 초기 개발을 시작했다. 이 모델은 2027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M6 칩과 C2 모뎀 도입 계획
애플은 현재 차세대 iPad Pro에 탑재할 M6 칩과 C2 5G 모뎀을 동시에 개발 중이다. 이 모뎀은 이미 iPhone 16e에 첫 도입된 C1 모뎀의 후속 모델로, 다음과 같은 개선점이 예상된다.
- 배터리 효율 향상: 퀄컴 모뎀 대비 전력 소모가 낮음
- 통신 속도 개선: 데이터 전송 대역폭 확장
- mmWave 지원 예정: C1의 단점 보완
현재까지는 애플의 자체 모뎀이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단계이며, C2는 2026년 iPhone 18 Pro 시리즈부터 먼저 테스트될 가능성이 크다.
아이패드 프로의 출시 주기 및 향후 일정
iPad Pro는 평균 약 18개월 단위로 신제품이 출시된다. 최근 M4 칩 기반 제품이 2024년 5월에 출시됐으며, 다음 M5 칩 모델은 2024년 10월경으로 예상된다.
아래는 향후 iPad Pro 관련 출시 일정 요약이다.
모델 | 출시 시기 | 칩 탑재 | 5G 모뎀 |
---|---|---|---|
iPad Pro (M4) | 2024년 5월 | M4 | 퀄컴 |
iPad Pro (M5) | 2024년 10월 (예측) | M5 | 퀄컴 |
iPad Pro (M6) | 2027년 상반기 | M6 | 애플 C2 |
이 외에도 2026년에는 엔트리급 iPad 12와 M5 기반 MacBook Air도 함께 출시될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현재 iPad Pro 셀룰러 모델에는 퀄컴 모뎀이 사용되고 있으며, 2027년 이후부터 자체 5G 모뎀으로 전환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자체 5G 모뎀의 장단점
장점
- 시스템 간 통합 최적화
- 칩셋 설계에 대한 자립성 확대
- 자체 칩 조합으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간 전력 효율 향상
단점
- 초기 버전 성능 불안정 가능성
- 일부 통신망과의 호환성 이슈 우려
애플이 직접 설계한 모뎀을 통해 iPad Pro의 통신 기능과 배터리 지속 시간이 어떻게 달라질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실제 성능은 출시 이후 사용자 리뷰를 통해 확인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