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 3.45GHz 스펙트럼 요구 논란 확산

AT&T가 T-Mobile 비판과 유사한 스펙트럼 활용 요청에 모순 논란 휩싸이며, 3.45GHz 미래 판결에 업계 시선 모아진다.
ATT 3.45GHz Spectrum Demand Controversy Spreads

AT&T의 3.45GHz 스펙트럼 강화 전략

AT&T는 5G 네트워크 성능을 높이기 위해 3.45GHz 스펙트럼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주파수 대역은 속도와 커버리지의 균형을 갖춘 **중대역(mid-band)**으로, 특히 도심 및 교외 지역에서 고속 5G 서비스 제공에 최적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AT&T는 T-Mobile과 UScellular로부터 관련 주파수를 인수하며, 중대역 포트폴리오를 공격적으로 확대 중이다.

마침내, AT&T는 **FCC의 소유 제한(screen)**까지 우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식을 선택했다.

거래 개요: UScellular, T-Mobile로부터의 인수

AT&T는 UScellular와의 거래를 통해 3.45GHz 대역 약 1,250백만 MHz-POPs, 700MHz B/C 블록 약 331백만 MHz-POPs10억1,8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중요한 점은 이 중 대부분이 T-Mobile이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스펙트럼이라는 것이다.

T-Mobile은 3.45GHz가 자사의 네트워크 전략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해 해당 대역을 Columbia Capital과 SoniqWave에 매각했고, 이로 인해 AT&T는 비교적 낮은 경쟁 속에서 해당 주파수 확보에 성공할 수 있었다.

중대역 스펙트럼의 커버리지와 성능 비교

3.45GHz는 기존의 mmWave 대비 더 넓은 도달 거리와, 저대역보다는 높은 처리 속도를 제공하는 이상적인 밸런스 대역이다.

  • 2.5GHz (T-Mobile 핵심 대역): 넓은 커버리지, 빠른 롤아웃
  • 3.45GHz (AT&T 집중 대역): 커버리지와 속도를 모두 만족, 고밀도 도시 지역에 유리
  • C-band: 3.7GHz~3.98GHz, 5G 최상의 성능 제공 but 구축 난이도 있음
  • mmWave: 초고속 속도이지만 현저히 짧은 도달 거리
통신사 중대역 주파수 전략 주요 확보 스펙트럼
AT&T C-band, 3.45GHz 283MHz (평균)
T-Mobile 2.5GHz 중심 393MHz (평균)
Verizon C-band 중심 291MHz (평균)
이런 글은 어때요? 👉  삼성 2020년형 배터리 강화폰 업데이트 중단

FCC의 스펙트럼 소유 제한(screen) 논란

미국 FCC는 2004년부터 특정 사업자가 전체 상업용 스펙트럼의 1/3 이상을 보유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spectrum screen 규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통신 시장 내 공정 경쟁을 위한 조치다. 하지만 AT&T는 이를 우회하기 위해 면제 요청을 진행 중이다.

AT&T는 Columbia Capital이 3.45GHz 대역을 활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시장 집중도가 실질적으로 낮음을 강조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몇 년 전, AT&T는 T-Mobile의 2.5GHz 점유율을 ‘과도하다’고 비난했으나, 이제는 스스로 유사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비판도 따른다.

AT&T의 스펙트럼 포트폴리오 확장 시나리오

AT&T가 최근 관심을 가지는 또 다른 대상은 SoniqWave다. 이 회사는 미국 내에서 일정량의 3.45GHz 스펙트럼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수가 현실화되면 AT&T는 이 대역의 단일 최대 사업자로 올라설 수 있다.

  • SoniqWave 외에도 Columbia Capital, EchoStar 등도 주요 보유자로, 향후 거래 가능성이 주목된다.
  • 이는 향후 5G 네트워크 효율성·속도·용량을 전방위적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규제 승인과 업계 반응

이번 거래가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FCC는 AT&T가 특정 시장에서 경쟁을 해칠 만큼의 지배력을 행사할 것이 아니라면, 면제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왜 3.45GHz인가?

  • 커버리지와 속도의 전략적 균형
  • 전국적 통합 운용이 가능
  • C-band와의 보완 운용 시너지 가능
  • mmWave의 한계를 보완하고 현실적 5G 구축 가능

T-Mobile과의 전략적 대조

  • T-Mobile은 3.45GHz를 포기하고 2.5GHz에 집중. 이 대역은 동일 조건에서 C-band보다 약 30% 더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 AT&T는 오히려 광역 커버리지보다는 고밀도 지역에서의 성능 유지를 우선 순위로 선택한 셈이다.

T-Mobile은 이미 C-band와 3.45GHz를 고려하지 않았고, 이를 버려도 충분한 커버리지를 제공받고 있다. 반면 AT&T는 해당 대역을 중심으로 도심 중심의 5G 성능 보강에 집중하고 있다.

이런 글은 어때요? 👉  애플, TSMC 2nm 공정 독점 삼성 1.4nm 착수

결론? 각자의 주파수 철학이 드러나는 움직임

  • T-Mobile: 적은 타워로 넓게, 빠르게
  • AT&T: 탄탄하고 빠른 성능 위주로, 밀도 높은 커버리지 전략

이러한 전략 차이가 시장에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

Total
0
Shares
Previous Post
New Food Section Added to Apple News Plus

애플 뉴스 플러스에 Food 섹션 새로 추가

Next Post
Apple Watch Health Sensor New Feature Prototype Unveiled

애플 워치 헬스 센서 새 기능 탑재 프로토타입 공개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