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서피스 프로 11: 2024년형 Copilot+ PC가 보여주는 윈도우 온 Arm의 미래
서피스 프로 11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궁금해하는 건 단 하나입니다. "대체 뭐가 얼마나 더 좋아졌을까?" 특히 서피스 프로 10 사용자, 혹은 아이패드 프로나 갤럭시 탭 S9과 같은 고성능 태블릿 사용자라면, 이번 모델이 진짜 '다음 세대 생산성 기기'가 될 수 있을지 체크하고 싶을 겁니다.
강력해진 Arm 기반 코파일럿+ PC
이번 서피스 프로 11은 단순한 태블릿 그 이상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모델을 통해 Arm 기반 윈도우 디바이스의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자체 개발된 Snapdragon X 시리즈 칩셋과의 조합은 새로운 전력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예고합니다.
- 기본형에는 Snapdragon X Plus (10코어) 프로세서 탑재
- 고급형은 Snapdragon X Elite (12코어) 사용
- 일반가: $999 / 교육용 할인 시 $899부터 시작
- 단, 고급형은 $1,500 이상으로 판매 중
디스플레이: LCD vs OLED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요소입니다. 이번에는 LCD와 OLED 디스플레이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해상도는 2880×1920(267PPI)이며, 최대 120Hz 주사율과 고릴라 글래스 5가 탑재되어 모바일 게임이나 영상 시청 시에도 부드럽고 튼튼한 경험이 보장됩니다.
<표>
</표>
입력 경험: 키보드, 펜 그리고 문제점
Surface Pro 시리즈의 특징 중 하나는 입력 기기의 자유도입니다. 그러나 이번 세대의 플렉스 프로 키보드는 완성도가 다소 아쉽다는 평가입니다.
- 키보드 펌웨어 업데이트 필수
- 키보드와 태블릿 간 깨어나는 속도 차이 존재
- 슬림 펜 2 별도 구매
이러한 부분은 단점이 될 수 있으나, 향후 펌웨어 개선으로 보완 가능성이 있습니다.
AI와 NPU 활용: 현실은 아직 미완
마이크로소프트는 Copilot+ 기능과 NPU 기반 AI 가속을 강조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NPU 테스트 앱 부족으로 인해 성능 체감이 어려운 상태입니다.
- 대부분의 AI 벤치마크는 CPU 기반
- 실제 AI 체감 성능은 낮음
이는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성장을 기다려야 하는 부분입니다.
앱 호환성과 생태계 단점
윈도우 온 Arm의 약점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특히 앱 호환성 문제가 사용자 불만의 핵심입니다.
- 구글 드라이브 사용 불가
- 일부 프린터 (예: 브라더) 인식 불가
- x86 에뮬레이션 성능은 향상되었지만 완전한 대체는 아님
배터리와 발열: 기대만큼은 아님
Arm 기반 칩이지만 기대했던 만큼 배터리 소모는 줄지 않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특히 고성능 작업 시 발열과 배터리 시간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차이가 납니다.
<표>
</표>
디자인 변화? 거의 없음
겉모습은 서피스 프로 9 5G 모델과 거의 동일합니다.
- 색상: 블랙, 플래티넘, 듄, 사파이어
- 무게 및 두께: 이전과 유사
- 포트 구성: USB-C x2
그래서 단순히 외형만 보고 업그레이드를 감지하긴 어렵습니다.
실제 유저 반응과 커뮤니티 반응
기기 전문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 클리앙, 미코(MEECO) 등에서는 서피스 프로 11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미코 커뮤니티의 후기는 조회 수 6,900회 이상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 긍정: 디스플레이 화질, 가벼운 무게, Copilot 기대감
- 부정: 앱 호환성, 초기 키보드 문제, 가격 대비 성능 의문
서피스 프로 10과의 주요 차이점
서피스 프로 10과 11의 가장 큰 차이점은 x86 → Arm 전환입니다. 이로 인해 성능과 사용 경험은 아래와 같은 차이를 보입니다.
<표>
</표>
다음을 기대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합니다:
- 장시간 문서 작성이 많고, Microsoft 365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직장인
- 학업과 필기 중심의 대학생
- 미래 지향적인 AI 기능과 저전력 모바일 워크환경을 원하는 유저
하지만 다음과 같은 유저는 고민이 필요합니다:
- 구글 생태계나 특정 윈도우 앱에 철저하게 의존하는 사용자
- 게임이나 고성능 앱 위주의 활용자
제품을 실사용하려면, 아직은 호환성과 소프트웨어 생태계가 성숙해지는 시기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