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가격 고정의 개념과 Verizon의 전략 변화
Verizon이 발표한 '가격 고정' 프로그램은 소비자에게 월 요금이 일정 기간 동안 오르지 않는다는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핵심은 36개월 동안 myPlan 또는 myHome 요금제에 대해 월 요금 인상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최근 T-Mobile이 먼저 시도해 논란이 되었던 가격 고정 모델을 따라가면서도 세부적으로는 차별화를 꾀합니다. 예를 들어, Verizon은 요금제를 업그레이드할 경우에도 기존 가격 보장이 연장된다고 밝힘으로써, 고객의 추가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도 존재합니다. '가격 고정'이 세금과 수수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제한은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청구액이 예상보다 높아질 수 있으므로 가격 고정의 ‘범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erizon이 항공권 시장에서 배운 교훈
Verizon의 가격 고정 전략은 바로 항공권 예약 플랫폼인 Kiwi.com에서 유사한 형태로 이미 활용되고 있습니다. Kiwi.com은 소비자가 항공권 가격이 급등하기 전에 현재 가격을 일정 기간 동안 '잠가두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Kiwi.com 가격 고정이 작동하는 방식
- 시간 제한형 보호막: 사용자는 항공권을 즉시 결제하지 않아도 최대 3일 동안 기존 가격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 가격 상승 방지: 고정 기간 내 가격이 올라가면, 사용자에게 추가 부담 없이 잠궈놓은 가격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 가격 하락 대응: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면 더 저렴한 가격으로 결제할 수 있어 상승 리스크는 줄이고, 하락 혜택은 그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변동성 높은 시장(항공권, 요금제 등)**이라는 공통의 배경에서, 기업이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예약 전환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가격 고정의 소비자와 기업에게 주는 가치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 고정을 통해 예산 계획을 더 유연하게 세울 수 있고, 가격 변동에 대한 불안감을 덜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고정이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잠재적인 이탈을 막는 마케팅 및 세일즈 전략이 됩니다.
아래는 가격 고정의 핵심 요소를 간단히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Verizon | Kiwi.com |
---|---|---|
적용 대상 | myPlan, myHome 요금제 | 항공권 |
고정 기간 | 36개월 | 최대 3일 |
혜택 | 요금 인상 없음 | 가격 상승 시 고정가격 적용, 하락 시 할인 적용 |
비용 | 무료(일부 조건 제외) | 일정 수수료 필요 |
제한사항 | 세금/수수료 미포함 | 고정 기간 만료 시 무효 |
두 시장 모두 가격 즉시 결정이 어렵고 변화가 잦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가격 고정'이 이러한 불확실성을 상쇄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격 고정은 단순한 가격 유지 이상의 의미를 지닌 전략으로서, 소비자에게는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이탈 방지를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